지난달 22일 오후 6시쯤, SUV 차량이 우회전을 하려다가 보행자 신호를 보고 멈춰 섭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바짝 뒤따라오던 서울 시내버스가 SUV 차량 후면을 들이받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버스 차체가 휘청일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사고가 발생했던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사고로 SUV 차량 운전자는 전치 3주의 부상을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버스업체 측은 피해자에게 사과하며 보상하겠다면서도 보험 처리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버스업체 관계자 : 이렇게 사고가 나면 이제 이런저런 일로 해서 불이익이 굉장히 많고 힘들거든요. 공제에 버금가게 저희가 처리를 해드릴 거니까.] <br /> <br />피해자는 원칙대로 보험 처리를 해달라고 요구하면서 2주 가까이 실랑이를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[피해 운전자 : 이분들에게 보험 처리를 받지 못하면 제 자비나 제 보험으로 처리를 해야 되는 그런 불안정한 상황이어서 굉장히 불안했고요.] <br /> <br />그런데 취재가 시작되자 해당 업체는 돌연 보험 처리 절차를 밟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험 처리를 진행하는 게 어렵지 않다는 건데, 그토록 꺼렸던 이유는 뭘까? <br /> <br />서울시가 버스업체를 상대로 해마다 진행하는 성과 평가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의 시내버스 업체 평가 항목을 보면 천 점 가운데 차량 사고와 차량 피해보상액 지수 배점이 180점으로,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보험 처리를 하면 사고로 집계되고 그만큼 평가 점수가 낮아집니다. <br /> <br />이는 서울시로부터 받는 보조금 규모, 즉 성과 이윤과 직결됩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성과 평가를 통해 상위 40개 업체까지는 기본 이윤에 더해 성과 이윤을 지급하지만 <br /> <br />40위권 밖에 있는 업체에는 기본 이윤만 지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성과이윤이 2~3억 원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성과 평가가 수억 원의 보조금을 좌우하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 사고가 나도 자체적으로 처리하려고 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, 자체 지급하는 합의금을 버스 기사가 자비로 내게 하는 경우가 많다며 노조는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차상우 / 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기획국장 : 버스가 20분 이상 정차했을 때 그 사유를 지자체에 보고하게끔 제도 개선이 필요하고요. (버스 기사) 자부담이 적발됐을 때 평가 점수를 대폭 삭감하고 감점시키는….] <br /> <br />서울시는 해당 내용을 확인해 필요한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성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31316451124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